하이엔드 컴팩트 카메라의 정수 Lumix LX100 리뷰- 4K 동영상 및 촬영편
하이엔드 컴팩트 카메라의 정수 Lumix LX100 리뷰- 4K 동영상 및 촬영편
4K Movie + 8M의 고해상도 이미지 캡쳐 기능 4K
Photo
LX100이 4K Movie 화질을 지원하는 것도 기쁜 일이지만 더
어필하고 싶은 것은 4K Photo 기능이다. 이 기능을 쉽게 얘기하자면 4K 영상에서 최적의 이미지 추출, 최대 8.3M
(3840×2160)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단순히 캡쳐 와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4K Photo 기능으로 추출된 이미지는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도 블러 없이 연사로 촬영한 것처럼 깨끗하게 이미지를
생성한다.
01.
4K Photo 설정 / 02. 4K Photo 모드에서의 촬영 화면
4K Photo 모드를 설정하면 화면 왼쪽 위에 4K Photo
아이콘이 뜨게 되며 동영상 촬영 버튼이 아닌 셔터 버튼으로도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4K Photo 모드에서는 LX100이 설정할
수 있는 16:9, 3:2, 4:3, 1:1 모드가 그대로 반영되어 녹화가 가능하며 비율에 따라 화소가 모두 8M 초반대를 유지하는 것도
특색이다. 결국 세로 픽셀이 가장 큰 것이 1:1 비율이 된다. 비율별 4K Photo 녹화 사이즈는 하단과 같다. 아래 4:3 비율로 녹화한
4K Photo 무비를 첨부해본다.
*[16:9] : 3840x2160 (8.3M), [4:3] :
3504x2336 (8.2M), [3:2] : 3328x2496 (8.3M), [1:1] : 2880x2880
(8.3M)
4:3
비율로 촬영한 4K Photo 무비 (3504x2336/30p. MP4,
100Mbps)
4K Photo 모드로 촬영된 영상은 재생 시에 원하는 부분부분마다
멈추어서 MENU/SET 버튼으로 최적의 약 8M 이미지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 중에는 Fn2 버튼으로 마킹을 하면 재생 시에 마킹한
곳으로 단숨에 점프가 가능하다. 마커는 한 동영상에 최대 40개 까지 가능하다.
아래는 4K Photo 기능으로 촬영된
영상(3840x2160/30p)이며 그 아래 카메라에서 8.3M 이미지로 추출한 사진과 디테일을
첨부했다.
4K
Photo 모드 촬영 (3840x2160/30p. MP4)
위
영상을 카메라 내에서 탐색 시 8.3M 이미지 생성 (Resize)
카메라에서 생성된 8.3M 이미지(위)의 원본 크롭
화질
위 생성된 이미지
리사이즈 본을 보면 왼쪽 아래에 촬영 정보가 삽입된 것을 볼 수 있다. 4K Photo로 생성된 이미지에는 EXIF 정보에 촬영 정보도
포함된다.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영상, 그리고 75mm 망원의 한계에서 8.3M 이미지 디테일은 크롭 활용을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정말
뛰어나다. 한마디로 8.3M 이미지를 30fps로 연사한 것과 다르지 않다. LX100이 1280만 화소임을 감안하면 동영상으로 촬영한 모든
순간순간을 고화질로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정말 누구 말대로 LX100으로 촬영을 당하는 이라면 긴장을 할 수 밖에
없다.
4K/Full HD/HD/VGA 등 용도에 맞는 다양한 동영상 사이즈와
포맷 지원
LX100이 지원하는 동영상은 아래와 같다.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시간은 29분 59초 인데 MP4의 경우 4K 이외의 옵션에서는 29분 59초를 초과하거나 4GB를 넘으면 촬영이 중지되고 4K 에서는 15분을
초과하면 중지된다. 4K는 4GB의 용량을 초과해도 계속 촬영이 가능하지만 동영상 파일이 나뉘어서
저장된다.
*AVCHD
1920 × 1080 (FHD / 60p : 약
28Mbps)
1920 × 1080 (FHD / 60i : 약 17Mbps),
1920 × 1080 (FHD / 30p : 약
24Mbps)
1920 × 1080 (FHD / 24p : 약 24Mbps)
*MP4
3840 × 2160 (4K /
30p : 약 100Mbps)
3840 × 2160 (4K / 24p : 약 100Mbps)
1920 × 1080 (FHD / 60p
: 약 28Mbps)
1920 × 1080 (FHD / 30p : 약 20Mbps)
1280 × 720 (HD / 30p : 약
10Mbps)
640 × 480 (VGA / 30p : 약 4Mbps)
64GB 메모리 용량이면 4K 영상을 약 1시간 20분을 녹화할 수
있으며 Full HD 60p의 경우엔 5시간을 녹화할 수 있다. 아래 동일 장면에서 촬영한 AVCHD Full HD의 60p, 그리고 4K
Movie의 24p 영상을 첨부해본다.
AVCHD Full HD / 60p
촬영영상
4K
(3840x2160) / 24p 촬영영상
4K
(3840x2160/30p. MP4) 촬영 영상
4K Movie는 Full HD에 비해 가로와 세로 픽셀이 두 배로서
사이즈는 무려 4배다. 단순히 크기만 한 게 아니라 디테일도 더 좋다. 사이즈가 크다는 것은 사진과 마찬가지로 인코딩 시에 화질 저하가 적고
크롭 활용도도 높다. 아래는 동일 장면을 Full HD와 4K Movie로 촬영하여 영상을 캡쳐한 후 100% 크롭 화질을 비교한
것이다.
01.
4K (3840x2160) 30p 캡쳐 크롭 화질 / 02. AVCHD Full HD 60p 캡쳐 크롭
화질
얼굴인식 AE + 눈동자 인식 AF의 완벽한 얼굴 추적 AFC 피킹 및
지브라 패턴 지원
동영상
촬영중 얼굴+눈동자 인식 화면
LX100은 얼굴인식과 함께 눈동자 인식 AF가 가능하다. 이것은
사진과 동영상 모두 적용되는 기능. 비록 LX100이 터치가 되지는 않지만 기능이 출중하기 때문에 동영상 촬영에서의 AFC는 크게 문제가 안
된다. 아래는 얼굴+눈동자 인식 AF로 촬영한 연속 AF 동영상 촬영 샘플이다
얼굴인식+눈동자 인식 기능으로 촬영한 4K Movie
(3840x2160/30p. MP4)
인물이 앞으로 걸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비교적 자연스럽게 얼굴 연속
AF를 실시하고 있다.
동영상에서도 사진과 완전히 동일하게 모든 AF 기능을 적용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동영상 촬영 중에 가능한
것이 무엇 인가다. 터치가 되지는 않지만 촬영 중에 버튼과 휠 다이얼을 이용해 AF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AF영역을 움직일 수도 있고 조리개
조절이나 노출 조절도 가능하다.
촬영
중 초점 영역 변경
촬영
중 조리개 변경
MF 촬영 시 또는 노출 오버 부분을 어시스트 하는 피킹 기능과 지브라
패턴 기능도 지원한다. 이는 촬영 중에도 표시가 가능하여 촬영 중에 원하는 피사체 초점과 노출 과다 부분을 인지하여 촬영 중에 바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배려해주고 있다.
동영상
촬영 전, 촬영 중 피킹 기능과 지브라 패턴 기능 지원
LX100은 최초로 미러리스와 하이엔드 카메라에 4K 영상을 탑재한 브랜드인 만큼 영상 촬영에 관한 인터페이스가 업계 최상이다.
역시 동영상 촬영에서도 터치가 지원되지 않는 것이 아쉽게 작용된다. 영상이 뛰어나고 컴팩트하기 때문에 이어폰 및 마이크 책이 있었다면 더
좋았을 듯. 작은 것에 모든 걸 구겨 넣기는 힘들었나 보다. LX100을 구입하시는 분들은 필자가 서두에 소개한 4K Photo 기능을 십분
활용해보기 바란다.
아래 4장의 이미지는 동영상 캡쳐 리사이즈 이미지이다.
4K
(3840x2160/30p. MP4) 샘플영상
공간 인식 AF에 의한 고속 AF와 추적
기능
LX100이 LX7과 비교한 성능을 기반으로 마케팅 소구점으로
내놓았지만 일반 유저들은 LX7보다는 마이크로 포서즈와 비교를 할 것이다. LX100도 GH4에 탑재된 공간 인식 기술로 빠른 AF와 추적
성능의 향상을 가져왔다. 공간 인식 기술(DFD)는 화면의 피사체를 순간적으로 산출하는 기능이다. LX100의 AF 속도는 파나소닉에서
AFS에서 CIPA 기준 0.14초 라고 설명하고 있다. 마이크로 포서즈의 최단 AF 속도 보다는 다소 느린 것은 사실이며 Shot to
Shot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가 워낙 광속일 따름이지 LX100도 충분히 빠르다. 그것은 AFC 연사에서 초당 6.5매가
가능한 것을 한 예로 들 수 있다.
아래는 고광량하에서의 AF 테스트로서 중간에 매크로로
전환했다.
AF
스피드 (실내 고 광량, 일반->매크로)
매크로 모드에서도 AF속도 차이를 느낄 수 없다. 재미있는 사실은 액정
촬영보다 뷰파인더 촬영 시에 AF가 좀 더 빠른 느낌이 들었다는 것. 그리고 액정 프레임을 30fps가 아닌 60fps로 설정해야 좀 더
빠르다. 리뷰 제품이 정식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그럴 수 있지만 LX100 유저는 이 것을 한번 테스트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 아무튼 AF자체는
빠르다.
실내와 야간에서도 AF에 헤매는 일은 없다. 물론 다른 기종과 마찬가지로 광량이 너무 부족한 곳에서는 AF 스피드가 살짝
저하되지만 AF 성공률은 높은 편이며 액정이나 뷰파인더 퀄리티 또한 저조도 촬영에 많은 도움을 준다. 아래는 열악한 조명에서 보조광에 의해
AF를 실시해본 것이다.
AF
스피드 (실내 저 광량)
초당 11매 연사 / AF-C 6.5매
연사
LX100은 기계식 셔터에 의한 초당 11매의 고속 연사를 지원한다.
테스트를 해보니 JPEG 파인으로는 무려 약 100장. 그리고 RAW는 약 23장 정도를 촬영한다. DSLR 처럼 화면 끈김 없이 라이브 뷰
연사를 하려면 초당 7매인 중속 연사를 활용하면 된다.
초당
11매 고속 연사 [JPEG 파인]
AFC
추적 초당 6.5매 연사
49점 AF, 로우 라이트 AF, 사용자 정의 멀티 AF 다양하고
완벽한 AF 지원
AF 모드는 얼굴인식, 트래킹, 49점 AF, 사용자 멀티, 1영역,
핀 포인트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 정의 멀티 AF가 눈길을 끈다. 가로패턴, 세로패턴, 그리고 사용자 정의는 물론이요 C1,C2,C3로
사용자 저장까지 가능하다.
사용자 정의 멀티 AF에서는 원하는 영역을 사용자가 멀티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피사체에
대응하기 위한 배려다.
가로,세로 패턴 및 사용자 정의 멀티 AF
설정
1점 AF는 사이즈를 보다 세부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며 스팟 AF로 설정
촬영하면 근거리의 작은 피사체 우선으로 정확하게 초점을 잡아낸다.
멀티 AF는 49점 멀티뿐 아니라 9영역을 그룹으로 설정
가능하다.
앞서 동영상에서 설명했던 것 처럼 얼굴 인식은 눈동자 인식까지 지원하여
인물 촬영시 우선시 되는 눈동자 AF를 어시스트 해준다.
핀 포인트는 스팟 AF로도 부족한 보다 세밀한 부위에 초점을 잡을 시
유용하다. 확대 역시 3배~6배로 확대가 가능하며 확시 시의 시간 또한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파나소닉 카메라는 촬영 성능에서
만큼은 늘 타의 모범이 되어 왔다. 그만큼 촬영에 있어서는 AF부터 시작해서 속도및 추적 알고리즘, 촬영 중 인터페이스 등 거의 완벽에 가깝다.
아마도 본 자료에 의해 파나소닉 카메라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혀를 내두를 지도 모르겠다. 터치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 외에는 흠 잡을 데가 없는
카메라다.
팝코넷(http://www.popc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