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카 이미지 파일의 크기는 두가지 방식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즉, 1024*768 처럼 가로,세로 점 개수로 표시되는 해상도와, 2.3MB 등으로 표시되는 파일의 저장용량입니다.
대체로 이 두가지가 클수록 화질이 좋아지며, 대체로 서로 비례관계에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1. 해상도와 압축률
만일 3000*2000의 해상도(600만 화소)로 사진을 찍어서 고스란히 저장하려면 18MB의 저장용량이 필요합니다. 이는 저장하기에 너무 큰 파일이므로 JPG라는 "손실압축"방식을 통해 작은 용량으로 줄이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손실압축"이란 사진의 품질을 다소 저하시키더라도 용량을 줄이는 것이며, 얼마나 줄일 것인가는 압축률로 결정됩니다. 즉, 압축률이 높으면 사진파일의 저장용량이 줄어 들어 많은 수의 사진을 저장 할 수 있지만, 품질은 그만큼 나빠집니다.
* 파일의 크기는 각각 71Kb, 17Kb, 12Kb, 10Kb 입니다.
2. 해상도가 낮으면 높이면 된다?
해상도가 낮다고 해서 이미지편집 소프트웨어로 해상도를 높이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해상도만 올리는 것은 화질에 그다지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아래의 예에서와 같이 이렇게 확대된 경우 원래 그 해상도로 촬영된 사진에 비해 화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3. 선명한 사진을 얻으려면?
한번 나빠진 화질은 개선시키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단 디카의 압축률 설정을 "낮게", 즉 품질 설정을 제일 "높게" 설정해두십시오. 또한 사진의 밝기를 조정하거나 해상도를 줄이기 위해 포토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포토샵에서 작업을 마치신 다음 저장하실 때 품질을 결정하는 수치를 10 이상으로 해야 하며, 원본을 보존하기 위해 '새이름으로 저장'하십시오
대체로 이 두가지가 클수록 화질이 좋아지며, 대체로 서로 비례관계에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1. 해상도와 압축률
만일 3000*2000의 해상도(600만 화소)로 사진을 찍어서 고스란히 저장하려면 18MB의 저장용량이 필요합니다. 이는 저장하기에 너무 큰 파일이므로 JPG라는 "손실압축"방식을 통해 작은 용량으로 줄이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손실압축"이란 사진의 품질을 다소 저하시키더라도 용량을 줄이는 것이며, 얼마나 줄일 것인가는 압축률로 결정됩니다. 즉, 압축률이 높으면 사진파일의 저장용량이 줄어 들어 많은 수의 사진을 저장 할 수 있지만, 품질은 그만큼 나빠집니다.




* 파일의 크기는 각각 71Kb, 17Kb, 12Kb, 10Kb 입니다.
2. 해상도가 낮으면 높이면 된다?
해상도가 낮다고 해서 이미지편집 소프트웨어로 해상도를 높이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해상도만 올리는 것은 화질에 그다지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아래의 예에서와 같이 이렇게 확대된 경우 원래 그 해상도로 촬영된 사진에 비해 화질에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 |
![]() ![]() |
3. 선명한 사진을 얻으려면?
한번 나빠진 화질은 개선시키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단 디카의 압축률 설정을 "낮게", 즉 품질 설정을 제일 "높게" 설정해두십시오. 또한 사진의 밝기를 조정하거나 해상도를 줄이기 위해 포토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포토샵에서 작업을 마치신 다음 저장하실 때 품질을 결정하는 수치를 10 이상으로 해야 하며, 원본을 보존하기 위해 '새이름으로 저장'하십시오
'사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물사진의 표현법_ 음식사진 (0) | 2007.04.10 |
---|---|
인공광과 자연광을 이용한 인물의 표현팁 (0) | 2007.04.10 |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마는가-점점 줄어들어가는 필름의 입지 (0) | 2007.01.29 |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WB) (0) | 2007.01.09 |
기본적인 사진촬영 노하우 (0) | 2006.12.27 |